전공의들의 생활고와 정부의 무책임: 100일 간의 투쟁기
전공의들이 의대 증원에 반발해 의료 현장을 떠난 지 100일이 되었습니다.
정부는 이 기간 동안 계속해서 전공의들에게 복귀를 촉구했지만, 전공의들은 이를 공허한 메아리라고 비판하고 있습니다.
29일 보건복지부가 공개한 전공의 출근 현황에 따르면 23일 기준 211개 수련병원에 소속된 전공의 1만501명 중 현장에서 근무를 하고 있는 전공의는 839명에 불과합니다.
이는 전체의 8%에 해당하며, 나머지 92%에 해당하는 9662명은 여전히 현장에 복귀하지 않았습니다.
생활고에 시달리는 전공의들
이들은 병원을 떠난 이후 월급을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또한 정부가 사직서 수리 금지 명령을 내리면서 개원이나 다른 병원 취업도 불가능한 상황입니다.
사실상 의사 면허로 돈을 벌 수 있는 일은 100일 동안 전혀 하지 못하고 있는 셈입니다.
특히 전공의들 중에는 가정을 꾸린 가장들도 있어 생활고를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형외과 사직 전공의 B씨는 빈부격차가 심하다고 이야기했습니다.
B씨는 "모은 돈이 있는 친구는 장기로 해외여행을 가거나 쉬면서 보내고 있고, 그렇지 않은 친구들은 집에서 유튜브를 보거나 게임을 하며 지내고 있다"며 "자녀가 있는 외벌이 친구들은 의국 선배들의 도움을 받아 생계를 이어가거나 쿠팡맨, 학원 아르바이트 등을 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의국 선배들 중에는 매달 100~200만 원씩 지원해주는 선배들도 있다"며 "나도 돈을 까먹는 게 아쉽기는 하지만 태어나서 이런 시간을 갖는 건 마지막일 테니 휴식하며 건강을 찾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의협의 지원과 전공의들의 결의
대한의사협회(의협)에 따르면 지난 21일까지 의협에서 제공하는 생계 지원금 100만 원을 받기 위해 신청한 전공의만 1646명에 달합니다.
이에 더해 의협은 선배 의사가 생계가 어려운 전공의들을 위해 무이자 또는 저금리로 일정 금액을 대출해주는 '선배 의사와의 매칭 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의협이 정한 1인당 대출 금액은 25만원이지만 조건은 변동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같은 어려움에도 전공의들은 마음을 굳건히 다지고 있습니다.
가정의학과 사직 전공의 A씨는 "생활고를 겪고 있어도 복귀는 하지 않겠다는 분들이 많다"며 "그런 분들의 이야기를 들을 때마다 마음이 아파서 빨리 끝났으면 좋겠다"고 말했습니다.
복귀 가능성이 있는 전공의들
생활고를 겪는 전공의들보다 현장에 복귀할 가능성이 높은 전공의는 전문의 시험을 얼마 안 남긴 고연차 전공의들입니다.
흉부외과 사직 전공의 C씨는 "일단 복귀할 생각은 진짜 없다. 실제 돌아갈 생각을 하고 있는 친구들은 많지 않다"며 "돌아가는 친구들도 포기하고 들어가는 것보다는 '전문의 빨리 끝내고 그냥 빨리 튀자'라는 생각인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실제로 빅5 병원 관계자에 따르면 고연차 전공의들은 교수들과 면담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으며, 조금만 버티면 전문의 자격증 시험을 치를 수 있기 때문에 복귀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합니다.
일부 고연차를 제외한 대다수의 전공의들은 여전히 돌아갈 마음이 없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정부에 대한 불만과 요구
B씨는 "시간이 지나도 변한 게 없으니 복직하지 않을 예정이다. 아쉽긴 해도 아닌 건 아니다"라면서 "정부에서 대책을 내놓거나 적어도 전공의들에게 사과라도 한다면 복귀를 할 테지만 행정명령을 거두지 않고 윽박지르고 반강제로 복귀시키려고 하면 복귀하지 않을 생각"이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우리는 정부와 소통을 통해 합리적인 방안으로 해결되길 바랐는데, 정부는 넘지 말아야 할 선을 넘어버렸다"며 "복귀하려는 전공의들도 정부의 불통 의지를 확인하고 마음을 닫아버렸다. 정부의 태도 변화를 보고 생각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흉부외과 사직 전공의 C씨는 더 단호했습니다.
C씨는 "증원을 한다 치자. 그럼 대책이라도 내놔야 하는 것 아니냐. 전혀 대책도 없이 정부도 이젠 자존심 싸움을 하는 것 같다"며 "전공의들 다 필요 없다고 생각했다면 행정명령 내리고 이행하면 될 텐데 그러지도 않고 도대체 뭘 하자는 건지 모르겠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또한 "병원들은 물론 주변 산업까지 망해가고 있는 것 같은데 이렇게까지 해서 대책 없는 의대 정원 2000명을 왜 고집해야 되는지 모르겠다"며 "다들 돌아갈 생각은 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사직 전공의들은 여전히 복귀 전제로 내세운 '원점 재검토'에 대한 희망을 놓지 못하고 있습니다.
흉부외과 사직 전공의 C씨는 "아직 대학별 모집요강이 안 나오지 않았나. 지금이라도 정부가 취소하거나 원점 재논의를 한다고 하면 충분히 할 수 있을 것 같다"면서도 "하지만 정부는 그걸 안 하고 있으니 그냥 늘어난 정원 5000명으로 필수의료를 잘 지켜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고 비판했습니다.
전공의들의 의료 현장에 대한 미련
전공의들은 여전히 떠나온 의료 현장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A씨는 "일반의의 길도 있었지만 굳이 힘든 전공의 생활을 택한 건 그게 좋았기 때문"이라며 "예전 생활이 그립지만 지금 이대로는 갈 마음이 없어 마음을 다잡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C씨도 "다들 예전처럼 일은 하고 싶어 한다. 힘들어도 다 그거 하고 싶어서 하는 사람들 아니었겠는가"라며 "근데 이제는 그게 크게 의미 없을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다른 흥미로운 포스팅이 궁금하시면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포털사이트 카페에서 무단 추출한 이메일로 스팸메일 발송, 손해배상 책임 인정
포털사이트 카페에서 무단 추출한 이메일로 스팸메일 발송, 손해배상 책임 인정최근 정부기구의 판단에 따르면, 포털사이트 카페에서 무단으로 이메일 주소를 추출하여 스팸메일을 발송한 경
inmul4u.tistory.com